손목 저림 있는 '손목터널증후군' 50대 여성이 5배 많아

이은경 | 기사입력 2018/12/28 [11:17]

손목 저림 있는 '손목터널증후군' 50대 여성이 5배 많아

이은경 | 입력 : 2018/12/28 [11:17]

 

헬스프레스

 


손목터널증후군으로 병원을 찾는 진료인원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50대 전체환자 중 5만 7천 명이 여성환자로 41.4%를 차지했다.

손목터널증후군이란 수손목부위의 뼈와 인대로 이루어지는 수근관(손목터널)에서 여러원인으로 정중신경(팔의 말초신경 중 하나로 일부 손바닥의 감각과 손목, 손의 운동기능 담당)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압박성 신경병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주 진단명으로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을 진료 받은 환자는 2013년 16만 7천 명에서 2017년 18만 명으로 7.4% 증가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3.19배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성별 진료인원 현황을 살펴보면, 50대(6만 8천 명, 37.8%)가 가장 많았고, 60대(3만 7천 명, 20.4%), 40대(3만 1천 명, 17.5%) 순이었으며, 중장년층(40대~60대)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여성이 5만 6천 명으로 같은 연령대 남성 1만 1천 명 보다 5배 더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이상윤 교수는 50대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중년여성에서 호발하는 이유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무리한 가사노동이나 폐경기 후의 호르몬 변화가 일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한창 활동량이 많을 시기이면서 이전부터 축적된 퇴행성 변화가 일반적으로 중년부터 나타나는 것 또한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을 치료 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에 대해 "정중 신경이 장기간 눌려 있을 경우, 신경이 관할하는 근육의 위축이 오며 신경손상 또한 발생할 수 있으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초기에는 간단한 감압술로 해결할 수 있으나 근위축이 올 정도로 장기간 방치 시 근/건 인대 이전술이 필요할 수 있는 등 수술도 커지고 예후도 좋지 않다"며 "이미 손상된 신경은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기까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수개월 간의 보존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의사의 조기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2017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성별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에서도 50대 여성이 1,366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0대 987명, 70대 이상 578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60대가 339명으로 가장 많았고, 19세 이하가 7명으로 가장 적었다.

이상윤 교수는 겨울철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날씨가 추워지면 수근관 내 구조물, 주변 연부조직들의 위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혈액순환 또한 원활하지 않아 증상이 심해질 수 있고, 활동량 또한 감소하기 때문에 더더욱 환자분들이 불편함을 호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2013년~2017년 까지 '손목터널증후군' 진료인원을 월별로 살펴보면, 연도별 월별에 진료인원이 차이가 있으나, 평균(2013년~2017년) 진료 인원이 다른 계절에 비해 추운 겨울(12월)에 연도별 가장 많은 진료 인원이 발생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부위의 뼈와 인대로 이루어지는 수근관(손목터널)에서 여러 원인으로 정중신경(팔의 말초신경 중 하나로 일부 손바닥의 감각과 손목, 손의 운동기능 담당)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압박성 신경병증이다.

'손목터널증후군'이 생기면 엄지와 요측 손가락이 밤마다 아프고 감각이 무뎌지며 저린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손목의 굴곡 혹은 신전 자세를 오래 유지하여도 감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장 전형적인 증상은 엄지, 검지, 중지 전체와 환지 요측부의 저림 증상이며 시간이 지나면 엄지근육의 쇠약 및 위축이 나타날 수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은 대부분 불분명하다. 드물게 결절종, 혈관종 또는 충양근 근위부에서 나타나는 구조적인 이상이 수근관의 압력을 증가시켜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신부전, 갑상선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와 같은 전신 질환 동반 시 발병 가능성이 높으며 임신 3기 여성들의 45%에서 수근관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개 출산 후 사라진다.

직업과의 관계는, 진동 기구 작업공 이외에는 유의 있게 연관성을 연결 짓기 어렵다.

'손목터널증후군'질환의 초기 치료로는 무엇보다도 손목 사용을 줄이는 것이 우선이다. 또한 밤에 잘 때에 손목 보조기를 착용 한다. 적어도 3개월 이상 상기 부목(보조기) 고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외 손목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투약 부작용을 잘 고려해야 한다. 이외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도 시행해 볼 수 있으나 효과에 대한 근거는 부족한 상태다.

이와 같은 보존 치료에도 효과가 없을 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수술적 치료는 관혈적(open) 방법과 관절경적(endoscopic) 방법이 모두 가능하며 둘 사이에 치료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손목터널증후군'예방법으로는 신부전, 갑상선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와 같은 전신 질환 동반시 잘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평소 건강을 잘 관리해야 하고 손목의 과사용과 연관된 퇴행성 질환의 일종이므로 과도한 사용은 피해야 한다.

정도를 걷는 얼론인이 되겠습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