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3대 매체가 ‘최선희 회견’ 보도하지 않는 이유는?

서정태 기자 | 기사입력 2019/03/18 [08:40]

북한 3대 매체가 ‘최선희 회견’ 보도하지 않는 이유는?

서정태 기자 | 입력 : 2019/03/18 [08:40]

 15일 평양 회견 이후 주요매체 삼일째 언급 없어

하노이 때 리용호 외무상 회견도 지금껏 보도 안해

대미 메시지 내부에 전하지 않는 패턴 반복 양상

정부 관계자 “상대 반응 보고 행보 정하겠다는 뜻”


한겨레

 


북한의 3대 주요 매체인 <노동신문>·<조선중앙통신>·<조선중앙텔레비전>이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15일 평양 회견 내용을 사흘째 보도하지 않고 있다.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끝난 2월28일 자정 넘어 이뤄진 리용호 외무상의 기자회견 내용을 지금껏 보도하지 않는 것과 유사하다. 회견으로 대미 메시지는 내놓되, 이를 내부에 전하지 않는 패턴의 반복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하노이에서 “서로에 대한 존중과 신뢰를 더욱 두터이”하고 “생산적인 대화들을 계속 이어나가기로 하시였다”(<노동신문> 3월1일치 1면)는 논조를, 아직은 공식 수정할 상황이 아니라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17일 “상대의 반응을 보고 이후 행보를 정하겠다는 뜻이 담긴 듯하다”고 말했다.

실제 최 부상의 “어떠한 형태로든 미국의 요구에 양보할 생각이 없다”는 발언은, “미국 측이 협상을 다시 제기해오는 경우에도 우리 방안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던 리 외무상의 기존 메시지와 본질적으론 같다. ‘양보는 없다’는 원칙적 선긋기다.

다만 주목해야 할 차이가 있다. 리 외무상이 회견에서 ‘향후 행동계획’을 입에 올리지 않은 반면에 최 부상은 최고지도부의 ‘행동’을 시사하는 메시지를 내놨다. 15개월째인 핵실험·탄도미사일발사 모라토리엄의 지속 여부는 “전적으로 우리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결단에 달린 문제”라는 발언이 그것이다. 위험수위를 넘나드는 대미 압박·경고다.

북한 읽기에 밝은 전직 고위관계자는 “북쪽이 공식 성명·담화 발표 대신 최 부상을 내세운 건 일단은 미국 반응 떠보기로 볼 수 있다”면서도 “정세를 안정시킬 조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북쪽이 ‘행동’에 나설 위험이 상당하다”고 짚었다. “우리 최고지도부가 곧 자기 결심을 명백히 할 것으로 보입니다”라는 최 부상의 발언은 그래서 주의를 요한다. 다만 ‘결심’의 주체로 김 위원장을 특정하지 않은 데다, ‘예고’가 아닌 ‘관측’의 형식을 빌린 발언이라 함의를 가늠하기 어렵다.

전직 고위관계자는 “한국과 중국의 역할, 특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역할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시 주석이 대북특사를 보내 김 위원장의 의중을 정확히 파악해 협상의 기반을 다시 다지는 게 현실적일 접근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 위원장이 1월8일 4차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한테 “조선반도 정세관리와 비핵화 협상 과정, 공동 연구조종”(<노동신문> 1월10일치 1면)을 다짐한 사실을 그는 상기시켰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