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장금철 4월 극비회동···北, 그뒤 미사일 7번 쐈다

서정태 기자 | 기사입력 2019/08/13 [08:25]

서훈·장금철 4월 극비회동···北, 그뒤 미사일 7번 쐈다

서정태 기자 | 입력 : 2019/08/13 [08:25]

 

서,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 타진

북한 측 소극적 태도로 불발

북, 5월 이후 미사일 7번 발사

중앙일보

                   서훈(左),                                                     장금철(右)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지난 4월 장금철 북한 통일전선부장과 극비 회동해 남북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타진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12일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고위 당국자는 “장금철 부장이 통전부장에 임명된 직후(4월) 서훈 원장과 상견례를 겸한 자리가 있었다”며 “향후 남북관계 등과 관련한 논의가 있었다”고 귀띔했다. 하지만 이 당국자는 “당시 북측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정상회담 추진이 불발된 뒤 남북관계가 악화일로로 향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두 사람의 접촉 다음 달인 5월 4일 한국이 사정거리인 단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를 재개해 그간 일곱 차례나 쐈다. 북한은 6월 27일엔 외무성 미국국장 명의로 “한국은 빠지라”고 비난하며 남북 대화를 차단한 채 대미 직거래를 고수하고 있다. 정부의 대북 쌀 지원도 거부한 상태다.

소식통들은 남북 정보기관 수장의 회동이 이뤄진 구체적인 장소와 일시를 밝히지 않았다. 단 두 사람의 접촉이 철저히 비공개로 진행됐다는 점에서 보안이 유지되는 판문점 또는 개성에서 진행된 것으로 관측된다. 또 장 부장이 4월 10일 열린 노동당 7기 4차 전원회의에서 전임자인 김영철에 이어 통전부장이 됐다는 점에서 전원회의 이후 회동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소식통은 “북한에선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4월 15일)이 최고의 기념일인데 4월 15일 직후 회동이 이뤄진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전직 정보 당국자도 “국정원은 사진이나 동영상, 또는 당국자가 직접 북한 담당자를 만나 확인을 거친 뒤에야 정보로 여긴다”며 “국정원에서 국회에 ‘장금철 통전부장’으로 확정적으로 보고했다는 건 누군가가 장 부장을 만나 관련 사실(통전부장 임명)을 확인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국정원은 신임 통전부장에 장금철이 임명됐다고 지난 4월 24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했다.

4월 남북 정보기관 수장의 접촉은 상견례 차원이었지만, 그럼에도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고 베트남 하노이에서의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여파를 진화하면서 정체된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를 탐색하려는 목적이었다는 게 소식통들의 설명이다.

김정은, 미국과의 직거래 염두에 둬…판문점회동 때도 남·북·미 회담 거부

문재인 대통령도 4월 15일 열린 수석 보좌관 회의에서 “장소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4차 정상회담을 하자”는 입장을 냈다. 문 대통령의 이런 입장을 서 원장이 직접 나서 북측에 타진한 셈이다. 하지만 북측은 당시 통전부장이 임명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내부 상황(통일전선부 검열 및 인사)과 대외 관계(북·미 정상회담 결렬 파장) 등을 이유로 정상회담 개최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전직 고위 당국자는 “김정은 위원장은 4월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연말까지 미국의 바뀐 셈법을 기다리겠다’고 밝혀 이미 이때부터 미국과의 직거래를 염두에 둔 것 같다”며 “김 위원장이 세 차례 남북 정상회담을 했지만 북·미 관계 개선 없이 금강산 관광이나 개성공단 재개 등 남북 협력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미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후 한국과 선을 긋겠다는 방침을 정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4월 회동 때 남북 정상회담 타진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던 북한은 이후 대미 직거래 전략의 강도를 높였다. 정부는 지난 6월 30일 북·미 판문점 정상 회동 당시에도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을 추진했으나 북한 측의 완강한 거부로 성사되지 않았다고 한다. 단 북·미는 당초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양자 회동을 진행하는 방향으로 협의했지만 남측 자유의집으로 장소를 옮기면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잠깐 만남’이 성사됐다는 후문이다.

남과 북은 통일부가 주축이 된 판문점 연락 채널 또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개성공단)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당국 간 공식 접촉에 앞서 사전 의견 조율이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국정원-통전부 간 비공개 채널을 가동해 왔다. 지난해 2월 평창 겨울올림픽을 기해 진행된 남북 정상회담(4·27) 물밑 접촉과, 같은 해 5월 함북 풍계리 핵시설 폭파 참관을 위한 한국 기자단의 직항로 방북 협의 때 국정원-통전부 라인이 작동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